본문 바로가기

생생이슈/생생해외동향

[NECA] 2018년 2-3월 국외 보건의료 동향



국외 보건의료 동향 [20182~3] 2.10.-3.9.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News release] Informal Physician Interaction Could Result in Lower Payments for Surgery, AHRQ Study Finds (2018.02.20.)

(내과의사 간 비공식적 상호작용으로 수술비용 절감할 수 있어)

AHRQJAMA Surgery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보건의료체계 내에서 일차의료기관 의사와 내과 전문의 간 비공식적 상호작용의 증가로 수술관련 메디케어(Medicare) 지불액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들이 관상동맥우회술 치료를 받은 253,000여명의 메디케어 수혜자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비공식적 통합(informal integration)’으로 정의된 내과의사 간 상호작용 증대는 중복검사 및 치료 혹은 기타 의료서비스의 감소로 이어져 의료비용 지출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러한 비공식적 통합은 전국적으로 수술비용을 절감하는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고 연구자들은 말했다. 수술비용 절감률은 재입원 감소(13%)와 급성기 후 관리(post-acute care)비용 절감(5.8%)이 가장 컸다.

관련 링크: Association of Informal Clinical Integration of Physicians With Cardiac Surgery Payments.

[News release] New Checklist Evaluates Health Care Decision Aids (2018.02.27.)

(보건의료 의사결정지원도구를 평가하는 새로운 체크리스트)

AHRQ연구자들은 환자의사결정도구(PDAs)를 평가하는 연구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했다. BMJ Quality & Safety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환자의사결정도구를 평가하는 체크리스트의 표준보고(SUNDAE)환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사용자를 위한 설명환자의 의사결정 지원에 초점을 맞춘 의사결정에 대한 설명과 같은 26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사람들이 정보에 근거하여 건강관리 옵션을 신중히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고안되었다.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환자에게 정확한 치료 옵션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자신의 가치와 선호도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가이던스를 제공한다.

관련 링크: Standards for UNiversal reporting of patient Decision Aid Evaluation studies: the development of SUNDAE Checklist.

Explanation and elaboration of the Standards for UNiversal reporting of patient Decision Aid Evaluations (SUNDAE) guidelines: examples of reporting SUNDAE items from patient decision aid evaluation literatur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

[Recommendation] Final Recommendation Statement: Screening for Ovarian Cancer (2018.02.13.)

(최종 권고안: 난소암 선별검사)

USPSTF징후나 증상이 없는 여성에게 난소암 선별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편익보다 위해가 더 크기 때문에 난소암 선별검사를 권고하지 않는다고 최종 발표했다(권고등급: D).

관련 링크: Ovarian Cancer: Screening

[Recommendation] Draft Recommendation Statement and Draft Evidence Review: Behavioral Weight Loss Interventions to Prevent Obesity-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in Adults (2018.02.20.)

(권고안 초안 및 근거 검토 초안: 성인 비만 관련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를 위한 체중감량 행동중재요법)

USPSTF는 성인 비만 관련 이환율 및 사망률 감소를 위한 체중감량 행동중재요법에 대한 권고안 초안 및 근거 검토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USPSTF는 임상의들이 비만 환자(BMI 30kg/m2 이상)에게 복합 집중 행동중재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권고등급: B).

관련 링크: Opportunity for Public Comment

[Research Plan] Public Comment on Draft Research Plan: Screening for Bacterial Vaginosis in Pregnant Women to Prevent Preterm Delivery (2018.02.22.)

(연구계획 초안에 대한 대중의견 수렴: 임산부 조산 예방을 위한 세균성 질염 검사)

USPSTF는 임산부 조산 예방을 위한 세균성 질염 검사 관련 연구계획 초안을 게시하였다.

관련 링크: Opportunity for Public Comment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CPSTF)

[News] mHealth Interventions Improve Treatment Adherence Among CVD Patients (2018.02.)

(mHealth 중재, 심혈관 질환 환자의 치료 순응도 향상시켜)

CPSTF는 심혈관 질환 환자의 치료 순응도 향상을 위해 모바일 헬스(mHealth) 중재를 권고했다. 해당 중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에게 자가관리 지침을 제공하는 것으로, mHealth 중재가 약물 순응도, 외래 추적 및 자체 관리 목표 준수 결과를 향상시킨다는 근거들을 보여준다.

체계적 문헌고찰, 심혈관 질환 관리, 임상 및 정책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다음의 SR 보고서를 검토·평가(12개 임상시험)하였다(Gandhi S, Chen S, Hong L, Sun K, Gong E, Li C, et al. Effect of mobile health interventions on the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anadian Journal of Cardiology 2017; 33:219-31.).

약물 순응도가 유의하게 향상됨(3편의 연구)

치료 순응도(하나 이상의 약물, 임상치료 후속조치 또는 위험요인 관리 권고 등)가 유의하게 개선됨(6편의 연구)

추가 연구를 통해 객관적 측정(1) 및 자가보고 결과(1)를 통한 약물순응도 개선이 보고되었으며, 세 번째 연구에서는 치료 순응도 개선을 보고함

관련 링크: Cardiovascular Disease: Mobile Health (mHealth) Interventions for Treatment Adherence among Newly Diagnosed Patients

One Pager: Mobile Health (mHealth) Interventions for Treatment Adherence among Newly Diagnosed Patients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ore Excellence

(NICE)

[News] Drug company says it will negotiate terms to allow children to access new treatment for rare genetic disorder (2018.02.12.)

(제약회사는 어린이들에게 희귀 유전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제공조건을 협상할 것이라고 밝혀)

NICE2형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신증(CLN2)을 가진 어린이에게 cerliponase alfa(Brineura 혹은 Biomarin이라고도 불림)를 권장하지 않는다는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했다. CLN2는 매년 영국에서 1~6명의 아기에게 영향을 주는 매우 드문 유전 질환이다. 35일까지 공개협의 대상이 되는 이번 예비결정은 NHS 잉글랜드와 협상하여 cerliponase alfa 사용의 장기적 편익의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동안 해당 약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바텐병(Batten Disease)이라고도 알려진 CLN2 아동 환자는 8세에서 초기 청소년기까지 살 수 있으며, 평균 수명은 10년으로 영국에서는 약 30~50명의 어린이들이 이 질환에 걸린 채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LN2는 효소 tripeptidyl peptidase 1의 결핍으로 인해 진행되는 진행성 질환으로, 뉴런 및 기타 세포에 단백질과 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현재 CLN2에 대한 치료법이나 생명연장 치료법은 없으며, 임상관리는 증상완화 및 고통완화 치료로 제한된다. cerliponase alfa는 매년 50만 파운드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며 외과적으로 이식된 영구투여장치를 통해 뇌에 직접 투여되는 효소 대체요법이다.

관련 링크: Cerliponase alfa for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type 2 - draft guidance

[News] NICE announces next steps in updating its guideline on ME/CFS (2018.02.15.)

(NICE, 근육통성 뇌염/만성 피로증후군 가이드라인 업데이트에 대한 다음 단계 발표)

NICE는 지난 달 워크샵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공동작업을 공식적으로 시작, 근육통성 뇌염/만성 피로증후군(ME/CFS)의 진단 및 관리에 관한 2010년도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했다. 이번 워크숍은 NICEME/CFS 환자와 그들의 간병인 그룹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이 새로운 가이드라인 개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초기단계에서 파악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ME/CFS는 영국에서 약 19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으로서 피로, 두통, 수면 장애, 집중력 장애 및 근육통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포함한다. 또한 장기간의 질병과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에 따라 질병의 형태나 증상패턴이 다양할 뿐 아니라, 날마다 또는 심지어 동일한 날에도 중증도(심각성)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관련 링크: NICE Public Involvement Programme team

[News] Alternative treatments for people with thyroid cancer to be offered routinely on the NHS, says NICE (2018.02.15.)

(NICE, NHS에서 갑상선암 환자를 위한 대체요법을 일상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혀)

NICE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에서 두 종류의 갑상선암 치료제(3가지)인 이프센(Ipsen)의 카보잔티닙(Cabozantib, 상품명 코모트리(Cometantib)), 바이엘(Bayer)의 소라페닙(sorafenib, 상품명 넥사바(Nexavar)), 에자이(Eisai)의 렌바티닙(lenvatinib, 상품명 렌비마(lenvima))NHS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도록 권고했다. 이 권고사항은 두 가지 평가로 작성되었다. 한 평가에서는 카보잔티닙이 수술을 할 수 없거나 주변으로 전이된 갑상선수질암(MTC)을 치료하기 위한 옵션으로 권고되었다. 카보잔티닙은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차단하여 자라면서 분열하는 것을 막아주는 표적 치료법이다. 임상시험자료에 따르면, 카보잔티닙은 질병의 성장을 늦춤으로써 환자에게 5.5개월의 수명연장을 제공하며, 현재 이 유형의 갑상선암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2가지 치료 옵션 중 하나이다. 다른 평가에서는 수술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에 신체 다른 부위로 전이되어 계속 자라거나 퍼진 분화갑상선암의 치료옵션으로 렌바티닙과 소라페닙 사용을 권고했다. 분화갑상선암은 가장 흔한 유형의 갑상선암으로 영국에서는 매년 1,800~2,790명이 이 질환에 걸리며, 이 중 약 200명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후에도 계속 자라는 종양이 발견된다. 이 두 약물은 암세포의 특정 단백질을 차단하여 종양을 축소시키고,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관련 링크: Cabozantinib for treating medullary thyroid cancer [ID56]

Lenvatinib and sorafenib for treating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fter radioactive iodine [ID1059]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CADTH)

[Rapid response] Per Oral Endoscopic Myotomy for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A Review of Clinical, Cost-Effectiveness, and Guidelines (2018.02.)

(식도운동장애에 대한 경구내시경근절개술: 임상적, 비용-효과성 및 가이드라인 검토)

경구내시경근절개술(POEM)은 식도이완불능증과 경련식도장애(SED)를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SR) 검토결과, 에카르트 점수(Eckardt score), LES 압력, 단위시간 바륨 식도조영술(timed barium esophagram, TBE)의 세로높이 및 체중증가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POEM은 경미한 위식도역류(양성자펌프억제제(PPI)로 성공적으로 억제가능)가 주요 유해사례인 안전한 치료법으로 POEM과 관련한 사망은 보고되지 않았다. 2건의 SR 결과에서는 식도이완불능증을 치료 시 POEM과 복강경헬러근절개술(LHM)의 효과가 비슷하였으나, 1건의 SR 결과에서는 위저추벽성형술(fundoplication)을 함께 시술한 LHM군보다 POEM군이 연하곤란(dysphagia)이 호전되는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

3건의 SR 결과에서 POEM군과 LHM군의 수술 후 통증점수와 진통제 복용량이 비슷했다. 안전성 측면에서 2건의 SR의 결과에서는 POEM이 위저추벽성형술을 함께 시술한 LHM보다 위식도역류 관련 유해사례 발생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 2건의 SR의 결과는 POEMLHM의 수술 후 증상인 위식도역류 비율이 비슷했다. 4건의 SR 결과 POEMLHM의 합병증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링크: Per Oral Endoscopic Myotomy for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A Review of Clinical, Cost-Effectiveness, and Guidelines

[Rapid response] Early Mobilization for Patients with Venous Thromboembolism: A Review of Clinical Effectiveness and Guidelines (2018.02.)

(정맥혈전색전증 환자의 조기보행: 임상적 효과 및 가이드라인 검토)

1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서는 적절하게 항응고제를 복용한 급성심부정맥혈전증(DVT) 환자의 조기보행(early ambulation)이 침상안정(bed rest)에 비해 폐색전증(PE) 발병률, DVT 진행률 또는 사망률이 높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임상적 중요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기 중등도 또는 중증 통증을 가진 환자의 조기보행이 침상에서 안정을 취할 때 보다 통증이 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분석결과 연구들 간 편차가 크고 이질성이 높아 비뚤림 위험이 존재하였다. 두 가지 임상 가이드라인은 항응고제를 복용한 안정 상태에 있는 DVT 환자에 대해 침상안정보다는 조기보행을 권고했다.

관련 링크: Early Mobilization for Patients with Venous Thromboembolism: A Review of Clinical Effectiveness and Guidelines

[Rapid response] Human Growth Hormon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A Review of Clinical Effectiveness, Cost-Effectiveness, and Guidelines (2018.02.)

(프라더-윌리 증후군 소아 환자를 위한 인간 성장 호르몬 치료: 임상적 효과, 비용-효과 및 가이드라인 검토)

높은 질의 소규모 무작위대조군 연구 1건과 중간정도 질의 소규모 무작위대조군 연구 4(139명 환자 대상), 2건의 코호트 연구를 통해 프라더-윌리 증후군 소아 환자 대상 인간 성장 호르몬 치료효과를 밝혀냈다. 이 연구들에 따르면 환자의 신체 구성요소, 행동효과 및 삶의 질 개선은 인간 성장 호르몬 치료와 관련이 있었으나 표본의 크기가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일관되게 관찰되지는 않았다. 높은 질의 연구에서는 성인 신장에 다다를 때까지 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은 프라더-윌리 증후군 환자에게서 인지능력 향상에 대해 일관성 없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1년 동안의 치료 후에는 인지적 편익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임상적 유효성 결과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위해사례와 인간 성장 호르몬 치료의 위험에 관한 데이터와 비용-효과성 관련 근거 및 가이드라인은 확인할 수 없었다.

관련 링크: Human Growth Hormon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A Review of Clinical Effectiveness, CostEffectiveness, and Guidelines

[Rapid response] Intravenous Lidocaine for Chronic Pain: A Review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Guidelines (2018.02.)

(만성 통증에 대한 정맥 내 리도카인: 임상적 효과 및 가이드라인 검토)

만성 통증의 광범위한 원인을 다룬 2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문헌의 질과 양이 제한적이고, 연구결과의 일관성이 없었으며, 만성 통증에 대한 정맥 내 리도카인 효과에 대한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했다. 확인된 2건의 가이드라인은 모두 2012년에 출판되었으나, 이 중 하나는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정맥 내 리도카인의 사용에 대한 권고등급을 B로 제시했지만 특정 영역에서는 근거가 부족했다. 다른 가이드라인은 정맥 내 리도카인에 대한 한 가지 연구를 기반으로 섬유근육통의 치료를 위한 정맥 내 리도카인의 사용을 권고하지 않았다.

관련 링크: Intravenous Lidocaine for Chronic Pain: A Review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