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이슈/생생해외동향

[NECA] 2017년 12월 국외 보건의료 동향



국외 보건의료 동향 [201712] 12.1.-12.3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News release] Dementia: number of people affected to triple in next 30 years (2017.12.07.)

(치매 : 향후 30 년간 환자수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세계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현재 35백만 명 수준인 치매 환자수가 2050년에는 152백만 명으로 세 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치매관련 비용은 연간 81800만 달러로 추정, 전체 GDP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비용에는 직접 의료비용, 사회복지 비용 및 비공식적 돌봄(간병인의 소득 손실)비용이 포함된다. 치매관련 비용은 2030년까지 2조 달러로 증가, 사회경제적 발전을 저해하고 장기요양보호 시스템을 포함한 보건 및 사회서비스를 망칠 수 있을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WHO가 시작한 웹기반 플랫폼인 Global Dementia Observatory는 치매환자와 그들을 돌보는 사람들을 위해, 국가단위 및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제공의 진전 상황을 추적할 것이다. 이 플랫폼은 국가정책 및 계획, 위험감소 조치, 돌봄 및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 등을 모니터링하며, 그 범위에는 감시시스템 및 질병부담 데이터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관련 보고서: Fact sheet: Dementia

[News release] Up to 650,000 people die of respiratory diseases linked to seasonal flu each year (2017.12.14.)

(계절성 독감 관련 호흡기 질환으로 매년 650,000명 사망)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세계보건기구(WHO) 및 국제협력기구들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계절성 인플루엔자로 인한 호흡기 질환관련 사망자수는 연간 650,000명에 달한다. 이는 기존의 추정치(250,000~500,000)보다 증가한 수치로 10년 동안의 심혈관 질환이나 당뇨병을 포함한 모든 인플루엔자 관련 사망자료를 기반으로 도출되었다. 최신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사망자수는 290,000~650,000명으로 중·저소득국가를 포함하여 더 다양하고 큰 규모의 데이터에 기반하였으며, 비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제외하였다. 이 추정치에는 The Lancet에 게재(12 14)된 미국 CDC의 연구를 비롯하여, 최근 인플루엔자로 인한 호흡기질환 사망률 연구결과가 포함되었다. 미국 CDC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망자는 75세 이상의 사람들과 세계 최빈국 지역에서 발생한다. 사하라사막 이남의 아프리카가 세계에서 독감 사망위험 가장 높은 지역이었으며, 동지중해 및 동남아시아가 그 다음으로 독감 사망위험이 높았다.

관련 링크: Global Influenza Programme

AHRQ

[News release] Analysis Finds Trade-Offs Associated With ACA-Enabled Medicaid, Marketplace Expansion (2017.12.5.)

(오바마케어에서 지원가능한 메디케이드 및 시장확대 관련, 상충관계 발견)

2015AHRQ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0년 오바마케어(ACA)가 통과된 후, 의료보험이 있는 가난한 미국인의 비율증가는 메디케이드의 가입자격이 되거나 ACA 시장을 통해 민간보험의 보조금을 받을 자격이 되는 사람들의 비율 증가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또한 메디케이드가 확장된 주에서는 노년이 아닌 성인빈곤층의 비보험자 비율은 22%p 하락한 반면, 민간보험의 보조금을 받는 그룹의 비율은 18%p 하락하였다.

관련 링크: Affordability

[News release] Better Connections Among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Can Reduce Patient Safety Events (2017.12.12.)

(의료정보기술 시스템들의 상호연계는 환자안전사건을 줄일 수 있다)

AHRQ가 연구비를 지원한 Applied Clinical Informatics 연구에 따르면, 의료공급자는 전자건강기록(EHR)다른 의료정보기술 간의 시스템 연계를 개선하여 환자안전사건을 줄일 수 있다. 2009~2016년에 대서양 중부의 여러 의료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170만 건의 환자안전사건을 검토한 결과, 정보처리의 상호연계성(interoperability)과 관련된 사건은 209건이었다. 대부분의 약국, 실험실 및 방사선시스템과 EHR와의 상호연계는 양호하지 않았고, 이는 동일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사건의 60%이상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사건의 2%만이 환자에게 실질적인 해를 입힌 반면, 50% 이상은 환자에게 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의료정보기술의 상호연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국시스템과 약물관련 사건을 먼저 조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 링크: An Analysis of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s Associated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 Interoperability

[News release] New AHRQ Toolkit Helps Hospitals Reduce Surgical Site Infections (2017.12.19.)

(병원에서 수술부위 감염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AHRQ 도구)

AHRQ의 새로운 도구(Toolkit)는 병원에서의 안전한 수술을 촉진하고, 수술부위 감염(SSI)을 줄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 도구는 전국단위 사업에 참여하고 SSI를 성공적으로 감소시킨 약 200개 병원 전문가들의 경험을 토대로, AHRQ의 포괄적 단위기반 안전프로그램(CUSP)으로서 외과수술에 적용되었다. 해당 전략은 대장암 수술 및 자궁절제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관련 링크: Toolkit To Promote Safe Surgery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USPSTF)

[Research Plan] Public Comment on Draft Research Plan: Ocular Prophylaxis for Gonococcal Ophthalmia Neonatorum (2017.12.07.)

(연구계획 초안에 대한 대중의견 수렴: 임균성 신생아안염에 대한 안구 예방)

USPSTF는 임균성 신생아안염의 안구 예방에 관한 연구계획 초안을 발표하였다. 연구계획 초안은 2017127일부터 2018110일까지 검토 및 대중의견 수렴을 위해 게시된다.

관련 링크: Opportunity for Public Comment

[Recommendation] Final Recommendation Statement: Hormone Therapy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hronic Conditions in Postmenopausal Women (2017.12.12.)

(최종 권고안: 폐경기 여성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호르몬 요법)

USPSTF는 폐경기 여성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호르몬 요법과 관련된 최종 권고안을 발표했으며, 호르몬 요법을 권장한다고 밝혔다(권고등급: D).

관련 링크: Hormone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Primary Prevention of Chronic Conditions

[Recommendation] Public Comment on Two Draft Recommendation Statements and Draft Evidence Reviews: Screening for CVD Risk With ECG and Screening for Atrial Fibrillation With ECG (2017.12.19.)

(근거검토 초안 및 권고안 초안에 대한 대중의견 수렴: 심전도를 활용한 심혈관 질환 위험도 검사 및 심방세동 검사)

USPSTF는 두 가지 주제(심전도를 활용한 심혈관질환 위험도 검사 및 심방세동 검사)에 대한 권고안 초안 및 근거검토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USPSTF는 심장마비나 뇌졸중 위험이 낮은 성인은 심전도 검사를 통해 선별될 없으며, 중등도 또는 고위험군 성인의 경우 심전도 검사에 대한 근거가 불충분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심전도 검사를 통한 심방세동 선별여부에 대해서도 충분한 근거를 찾지 못했다.

관련 링크: Opportunity for Public Comment

[Research Plan] Final Research Plan: Screening for Hepatitis C Virus Infection in Adolescents and Adults (2017.12.21.)

(최종 연구 계획: 청소년 및 성인의 C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선별검사)

USPSTF는 청소년과 성인의 C형간염 바이러스 검사에 대한 최종 연구계획을 발표했으며, 2017921일부터 2017 1018일까지 대중 의견 수렴을 위해 연구계획 초안이 게시된 바 있다. USPSTF는 연구계획 확정과정에서 제출된 모든 의견을 고려하였다.

관련 링크: Final Research Plan for Hepatitis C Virus Infection in Adolescents and Adults: Screening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CPSTF)

[News] Interactive Digital Interventions Help Patients Control High Blood Pressure (2017.12.)

(고혈압 환자들의 혈압관리를 돕는 대화형 디지털 중재)

CPSTF는 고혈압 환자의 혈압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화형 디지털 중재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혈압조절을 위한 대화형 디지털 중재는 컴퓨터, 스마트폰, 전화 또는 기타 휴대용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를 자체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임상전문가의 직접적인 정보입력 없이도 환자가 개인적으로 관련성 있고 맞춤화된 정보와 피드백을 제공받는 동시에 디지털 구성 요소와 양방향으로 소통한다.

연구진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대화형 디지털 중재와 관련된 7건의 무작위비교임상시험연구를 선정, 평가하였다(McLean G, Band R, Saunderson K, Hanlon P, Murray E, et al. Digital interventions to promote self-management in adults with hypertensio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Hypertension 2016;34(4):600-12.).

  •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수축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함 (WMD -3.74mmHg; 95%CI -2.19, -2.58; I2=0.0%; p=0.990)
  • 대조군에 비해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상당한 이질성을 보임 (WMD -2.37mmHg; 95%CI -0.40, -4.35; I2=80.1%; p=<0.001)

관련 링크: Cardiovascular Disease: Interactive Digital Interventions for Blood Pressure Self-Management

[News] Healthcare Systems Help Patients Manage Type 2 Diabetes with Mobile Apps (2017.12.)

(모바일 앱을 활용한 의료시스템은 환자들의 제2형 당뇨병 관리를 돕는다)

CPSTF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개선을 위해 자가관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사용을 권고했으나, 이러한 중재가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도 유익한지를 판단할만한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다.(근거수준: moderate)

연구진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14편의 RCT를 선정, 자가관리 모바일 앱 중재가 혈당조절(HbA1c)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Hou C, Carter B, Hewitt J, Francisa T, Mayor S. Do mobile phone applications improve glycemic control (HbA1c) in the self-management of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GRADE of 14 randomized trials. Diabetes Care 2016; 39:2089-95.)

  • 임상적 다양성을 감안하더라도 대조군에 비해 모든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HbA1c가 감소하였음 ( 평균 감소율 0.49% ; 95% CI 0.30, 0.68; I2=10%)

관련 링크: The Community Guid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ore Excellence

(NICE)

[News] NICE Launches PRIMA to health-check economic models (2017.12.07.)

(NICE, 건강체크 경제성평가 모형으로 PRIMA 도입)

경제성평가 모형은 의료기술의 가치를 입증하고, 적절한 보상 및 시장접근이 원활히 이루어 질수 있게 하며, 정책결정시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정중 하나이다. NICE는 약제, 의료기기 및 진단기기 등 개발자가 경제성평가 모형 구조, 코딩, 유용성 및 투명성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상세한 동료평가 서비스인 PRIMA (Preliminary Independent Model Advice)를 도입하였다. PRIMA는 산업계에 경제성평가 모형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견고한 자문을 제공하며, 보건의료 의사결정 이전에 모형의 오류 및 결함 등을 확인하고, 포괄적인 보고서와 완성된 PRIMA 체크리스트, 수정사항이 반영된 모형의 적용방안 등에 대해 조언한다.

관련 링크: Further information about PRIMA

[News] New deal will give people with kidney cancer another treatment option (2017.12.08.)

(NICE, 신장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 제공)

NICE는 이전에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 표적치료를 받은 성인의 진행성 RCC 치료옵션으로 everlimuslenvatinib(kisplyx라고도 함)을 함께 투여할 것을 권고했다. 연구결과, everolimus 단독 복용보다 lenvatinibeverolimus를 함께 복용하면 평균 10.1개월 정도 더 오래 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NICE 평가위원회는 치료옵션에 대해 비용-효과적이라고 평가하였다.

RCC는 소변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는 신장의 작은 튜브 안에 있는 세포에서 시작되며, 질병의 진행 단계에서 종양은 신장의 다른 부위로 퍼지고, 어떤 경우에는 인근 림프선으로 전이된다. Lenvatinib은 암 세포가 성장하고 분열할 때 필요한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작용한다.

관련 링크: Final appraisal determination: Lenvatinib with everolimus for previously treated advanced renal cell carcinoma

[News] Mesh for vaginal wall prolapse should only be used in the context of research, says NICE (2017.12.15.)

(NICE, 질벽 탈출 시 메쉬(mesh)는 연구 차원에서만 사용해야 한다고 밝혀)

질벽 탈출 시 메쉬(mesh) 사용에 대한 장기적 효능을 확인하기에는 문헌의 질과 양 측면에서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이러한 중재는 연구의 맥락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NICE는 메쉬에 대한 8가지 국제 가이던스(IPG)를 발표했으며, 스트레스성 요실금(SUI)이나 골반 장기 탈출증(POP) 치료를 위한 메쉬 사용에 대한 조언을 제공했다. 이 발행물은 일종의 POP인 질벽 탈출 시 메쉬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업데이트될 8개의 IPG 중 마지막 가이던스이다.

관련 링크: Transvaginal mesh repair of anterior or posterior vaginal wall prolapse

[News] Multiple sclerosis patients to have routine access to beta interferon drug, says NICE in new draft guidance (2017.12.20.)

(NICE,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베타 인터페론을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의 새로운 지침 초안 발표)

NICE 가이던스 초안에서 다발성 경화증 약물인 Extavia에 대한 일상적 사용이 승인되었다. 이는 재발 경감 다발성 경화증이나 속발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에게 비용 효과적인 대안으로 권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발성 경화증은 뇌와 척수에 영향을 미쳐 장애를 일으키는 만성 질환으로 재발 경감 다발성 경화증은 시력 문제 또는 균형 유지 장애와 같은 뚜렷한 증상을 동반하는데, 이러한 기능들은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상실된다. 속발 진행형 다발성경화증은 장애를 꾸준히 악화시키는 재발 경감 다발성 경화증의 다음 단계이다. Extavia2일마다 자가 주입해야 하며, 다발성 경화증으로 인한 신경계 손상을 늦추고, 재발 환자수를 줄인다. 평가위원회는 이 유형의 약제가 처음 2년 동안에는 효과가 감소한다는 근거를 발견했다. NICE평가에서 비용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된 다발성 경화증 의약품인 glatiramer acetate 및 기타 베타 인터페론(Avonex, Betaferon, Plegridy, Rebif)을 권고하지 않았다(Extavia는 환자당 연간 7,259 파운드의 비용이 소요되나 승인된 할인 가격은 기밀이다).

관련 링크: Multiple sclerosis - interferon beta, glatiramer acetate (review TA32) [ID809]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CADTH)

[Rapid response] Acetylsalicylic Acid versus Low-Molecular-Weight Heparin for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Comparative Clinical Effectiveness and Guidelines (2017.12.11.)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을 위한 아세틴 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vs. 저분자 헤파린(molecular-weight heparin): 비교임상효과 및 가이드라인)

5건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2건의 네트워크 메타분석 포함)5건의 비무작위임상시험연구는 엉덩이나 무릎 관절 교체 수술을 한 환자의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을 위한 저분자랸 헤파린(LMWH) 혹은 Xa인자 저해제(FXaIs) 아세틸 살리실산(ASA)의 임상효과를 비교한 근거를 제공했다(근거수준: low to moderate). 대다수의 연구에서 ASALMWHFXaI와 비교하여 임상효과와 안전성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일부에서는 ASA의 결과가 더 우월한 반면, 또 다른 연구에서는 LMWH 또는 FXaI의 결과가 더 우월하게 나타나 연구결과에 일관성이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불일치는 연구설계, 환자특성, 치료요법 또는 기타요인의 차이 때문일 수 있으며, ASALMWH FXaI의 비교임상효과에 관한 최종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 링크: Acetylsalicylic Acid for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Comparative Clinical Effectiveness and Guidelines

[Rapid response] Point-Of-Care D-Dimer Testing: A Review of Diagnostic Accuracy, Clinical Utility, and Safety (2017.12.11.)

(POC D-Dmer 검사: 진단 정확도, 임상적 유용성 및 안전성 검토)

폐색전증 증상과 Wells 점수에 근거하여 사전검사 확률이 낮은 성인 환자에서 음성 POC D-dimer 검사는 표준검사에 비해 높은 민감도와 폐색전증에 대한 음성예측치가 양호한 수준의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 지역사회 또는 양로원의 노인환자의 경우 민감도와 음성예측치가 약간 낮았으며, Wells 점수가 낮아지면 D-dimer 검사의 민감도와 임상 유용성이 향상되었다. 포함기준을 만족하는 폐색전증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POC D-dimer 검사의 안전성을 다루는 연구는 없었다.

관련 링크: Point-Of-Care D-Dimer Testing: A Review of Diagnostic Accuracy, Clinical Utility, and Safety